기초 금융•투자공부/회계기초공부

회계기초:재무상태표 제대로 이해하기 -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OB아저씨 2025. 3. 21. 18:27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의 이해

유동부채 비유동부채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대차대조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 두 가지 부채는 상환 기간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과 종류를 이해하는 것은 재무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

유동부채는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 주기 또는 보고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단기 부채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단기적인 재정적 의무를 나타내며, 유동성 및 현금 흐름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유동부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입채무 (Accounts Payable):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고 아직 지급하지 않은 금액.
  • 단기차입금 (Short-term Borrowings):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대출금.
  • 미지급금 (Accrued Liabilities): 계약이 성사되었으나 아직 지급되지 않은 부채.
  • 미지급세금 (Taxes Payable): 납부해야 하지만 아직 지급하지 않은 세금.
  • 선수금 (Unearned Revenue):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받은 현금.

유동부채는 기업의 단기 유동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의 비율이 높을 경우, 기업은 단기 유동성 위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비유동부채 (Non-Current Liabilities)

비유동부채는 보고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상환할 의무가 없는 장기 부채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재정적 책임을 반영하며, 주로 장기 자산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비유동부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기차입금 (Long-term Borrowings): 1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차입한 대출금.
  • 사채 (Bonds Payable): 자본 프로젝트를 위해 발행된 장기 채권.
  • 이연법인세부채 (Deferred Tax Liabilities): 회계상 소득과 과세 소득의 차이로 발생하는 미래 세금 부채.
  • 퇴직급여충당부채 (Pension Liabilities): 퇴직 직원에게 지급해야 할 급여.
  • 장기매입채무 (Long-term Accounts Payable): 1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상환해야 하는 매입채무.

비유동부채는 기업의 장기적인 재정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자 발생 부채가 많을 경우 순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 시 비유동부채의 비중을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동부채 vs. 비유동부채

구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상환 기간 1년 이내 또는 영업 주기 내 1년 이상
주요 항목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세금, 선수금 장기차입금, 사채, 이연법인세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
재무 영향 단기 유동성 평가 장기 재정적 안정성 평가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단기 및 장기 재정적 의무를 파악하고, 재무적 위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