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보고서입니다. 그중에서도 자산(Assets)은 기업이 보유한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1️⃣ 유동자산 (Current Assets)
👉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기업이 보유한 돈 (예: 현금, 요구불예금)
- 매출채권(외상매출금): 고객에게 외상으로 판매한 대금
- 단기금융상품: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금융상품
- 재고자산: 판매를 위해 보유 중인 상품이나 원자재
📌 유동자산이 많을수록 기업이 단기적인 돈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크다는 뜻!
2️⃣ 비유동자산 (Non-Current Assets)
👉 1년 이상 보유하는 장기 자산
- 유형자산: 공장, 건물, 기계, 차량 등 물리적 자산
- 무형자산: 특허, 상표권, 영업권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
- 투자자산: 장기 보유 목적으로 투자한 주식, 부동산 등
📌 비유동자산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
✅ 정리하면…
🔹 자산 = 유동자산(1년 내 현금화) + 비유동자산(장기 보유)
🔹 유동자산이 많으면 단기 재무 안정성 UP!
🔹 비유동자산이 많으면 장기 성장 가능성 UP!
'기초 금융•투자공부 > 회계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기초 : 기업 신용평가와 신용등급 이해하기 (2) | 2025.03.22 |
---|---|
회계기초:재무상태표 제대로 이해하기 -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0) | 2025.03.21 |
회계기초:재무상태표 당좌자산 완벽정리 (0) | 2025.03.20 |
회계기초:재무상태표를 살펴봐야 하는 이유 (0) | 2025.03.20 |
회계기초:차변과 대변 개념 완벽정리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