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엥겔지수, 평균 몇%? 한 달 소비지출액 중에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엥겔지수라고 합니다.엥겔지수는 평균적으로 13.5% 입니다. 즉, 100만원 한달에 지출한다고 하면 보통 14만원 가량 식료품 사는데 쓴다는 겁니다. 이때 외식은 제외합니다. 상위 20퍼센트 5분위 고소득층 일수록 엥겔지수가 떨어지고,1분위 저소득층일수록 올라갑니다. 그래서, 엥겔지수가 올라가면 저소득층이 힘들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경제 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특강(김광석 저) 중 발췌 기초 금융•투자공부/경제금융투자 상식 2025.03.27
경제상식: 기저효과 - 쉽게 설명해 드릴께요 기저효과란 과거의 상황이 현재의 경제 지표를 해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쉽게 말해, '과거가 너무 나빠서 현재가 더 좋아 보이는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꿀 생산량 예시:꿀벌나라에서 매년 평균 10통의 꿀을 생산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런데 2020년에 흉년이 들어 2통밖에 생산하지 못했습니다. 2021년에 5통을 생산했다면, 평균 생산량인 10통에 비하면 여전히 적지만, 2020년과 비교하면 2.5배나 증가한 것처럼 보입니다.경제성장률 예시: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019년에 +2.8%, 2020년에 -1.0%, 2021년에 +3.5%였다고 가정해봅시다. 2021년의 성장률 +3.5%는 좋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2019년 수준에 비해 크게 성장하지 않은 것입니다... 기초 금융•투자공부/경제금융투자 상식 2025.03.26
경제금융투자상식: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나요? 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는 돈의 가치 입니다. 즉, 금리가 올라간다는것은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겁니다.금리 = 돈의 가치물가 = 물건의 가치 금리와 물가는 반비례 합니다.금리 = 돈의 가이 물가 = 물건의 가치여기서 물가는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는 물건 말고도 부동산, 주식, 그밖의 내구재를 모두 포함. 왜 금리가 상승하면 물건의 가치가 떨어질까?1. 물건과 돈의 가치가 반비례 하기 때문.2.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곧 저축금리도 오른다는 의미이기 때문(즉, 굳이 주식투자를 할 필요가 없어짐)3. 대출금리도 올라감. 즉, 부동산 도 수요가 부족해지고, 부동산 가치가 떨어짐. 주식도 마찬가지. 금리의 종류기준금리 :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시장금리 : 기준금리를 기초로 시장이 반영한 금리예) 한 가게에서 .. 기초 금융•투자공부/경제금융투자 상식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