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

천상의 간식 우주 오란다

결론부터 예기하면 맛있다.달콤하고 폭신폭신하며 촉촉하다.  어느 날, 아내가 우주오란다를 주문해 달란다.오란다? 일단 우리 마님의 분부시니 주문했다.  관심없이 상품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억속의 외관은 아삭아삭하구,과자부스러기 떨어뜨려가며, 한손은 입으로 다른 한손은 입 아래로 받치면서먹는 달디 단 '그거' 인 줄 알았다. 배송 도착을 해도 관심이 없었다.아내가 한봉지 까서 쓰~윽 내게 준다.  "됐어, 지금 과자 별로 먹고 싶지도 않고, 이거 어떤건 줄 알아""일단 먹어보셔!" 뭐 또... 분부시니 한입 깨어물었다. 이게...뭐야.... 왜 티브이에서 보면 한입 먹고 무슨 환상곡 같은게 정지화면과 함께 틀어지 듯,내가 상상한 그 식감과 맛이 아니었다. 맛...있...다! 폭신폭신하고 촉촉하구,,,,또 기..

나는 MD다 2025.04.03

헤리티지와 힙트레디션

헤리티지와 힙트레디션: 과거와 현재의 매력적인 만남1. 헤리티지: 과거로부터 이어진 소중한 유산헤리티지는 사전적으로 '상속 재산, 유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화, 역사, 전통 등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무형 또는 유형의 자산을 포괄하는 개념이죠.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헤리티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유산: 고궁, 사찰, 성곽, 고택 등 역사적 건축물과 유물 * 무형문화재: 전통 음악, 공예 기술, 민속놀이, 언어 등 * 자연유산: 아름다운 자연경관, 희귀 동식물 서식지 등 * 지역 고유의 문화와 전통: 특정 지역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생활 방식, 음식, 축제 등이러한 헤리티지는 단순히 과거의 흔적이 아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정체성을 부여하고 풍요로운 영감을 제공하는 소..

주식 투자 팁 : 반드시 참고해야 할 8가지

1. 테이퍼링통화량은 주가와 동행한다. 2. 금리금리는 주가와 역행한다. 3. 나스닥을 확인한다.우리보다 먼저 장이 열리는 나스닥시장을 확인한다. 4.경기변동경기변동과 주가는 동행한다. 5. 이슈큰 이슈에 주목하라. 6. 경상수지경상수지가 흑자면 주가는 상승한다. 7. 기업실적재무제표 반드시 확인 8. 환율환율과 주가는 역행한다. 경제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특강(김광석 저) 에서 발췌

DSR, DTI, LTV 초간단 정리

대출을 받을 때 자주 등장하는 금융 용어 DSR, DTI, LTV! 간단히 정리해볼게요.1.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ebt Service Ratio)개인이 가진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몇 %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출 부담이 소득 대비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는 기준으로, DSR이 높으면 추가 대출이 어려울 수 있음.📌 공식DSR(%) =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 소득) × 100✅ 규제 기준:1금융권: DSR 40% 제한2금융권: DSR 50% 제한2. DTI (총부채상환비율, Debt to Income)연 소득 대비 대출 이자 + 원금 상환액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로 주택담보대출 심사에서 활용되며, DSR과 달리 이자와 주택담보대출 원금만 포함.📌 ..

구축효과 가 뭐예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란?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는 정부 지출 증가가 민간 부문의 경제 활동을 위축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특히 정부의 재정 정책(예: 정부 지출 증가, 국채 발행 등)이 민간 투자 감소로 이어지는 경우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1. 구축효과의 원리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공공사업 확대, 복지 지출 증가 등의 방법으로 지출을 늘리면, 이를 위한 재원 조달이 필요합니다.이때 정부는 주로 세금 인상 또는 국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합니다.📌 국채 발행이 증가하면?정부가 국채를 발행하면 시중 자금이 정부로 몰리면서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금리가 상승하면 기업들은 대출 비용 증가로 인해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개인들도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를 ..

카테고리 없음 2025.03.27

경제상식: 엥겔지수, 평균 몇%?

한 달 소비지출액 중에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엥겔지수라고 합니다.엥겔지수는 평균적으로 13.5% 입니다. 즉, 100만원 한달에 지출한다고 하면 보통 14만원 가량 식료품 사는데 쓴다는 겁니다. 이때 외식은 제외합니다. 상위 20퍼센트 5분위 고소득층 일수록 엥겔지수가 떨어지고,1분위 저소득층일수록 올라갑니다. 그래서, 엥겔지수가 올라가면 저소득층이 힘들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경제 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특강(김광석 저) 중 발췌

MSCI 지수란?

투자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MSCI 지수”**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 주식이 MSCI 지수에 편입됐다”, “외국인 투자자가 MSCI 지수를 따라 투자한다” 등의 뉴스가 나오곤 하죠. 그렇다면, MSCI 지수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 걸까요?✅ MSCI 지수란?MSCI는 미국의 금융회사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의 약자로, 이 회사가 만든 **주가지수(Index)**를 뜻합니다. 즉, MSCI 지수는 글로벌 주식시장의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쉽게 말해, **세계 각국의 주식시장 상황을 정리해 보여주는 '주식 성적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MSCI 지수가 중요한 이유그렇..

퍼펙트스톰, 볼커시대, 글로벌 리세션, 캐시카우, 테이퍼링, 긴축발작

퍼펙트스톰 (Perfect Storm)의미: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겹쳐 큰 경제위기를 만드는 상황예시:→ 글로벌 금융위기(2008) 때 금융 부실, 부동산 폭락, 실업 증가가 동시에 발생 볼커시대 (Volcker Era)의미: 1980년대 미국 연준 의장이었던 **폴 볼커(Paul Volcker)**가 극단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았던 시기예시:→ 볼커는 금리를 20%까지 올려 물가를 잡았지만, 경기 침체를 초래 글로벌 리세션 (Global Recession)의미: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하는 현상예시:→ 코로나19 팬데믹 때 세계 경제가 멈추면서 글로벌 리세션 발생 캐시카우 (Cash Cow)의미: 안정적인 수익을 꾸준히 창출하는 사업이나 기업예시:→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 = 삼성의 대표..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하이퍼스텝

✅ 빅스텝 (Big Step)의미: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50bp) 올리는 것예시:→ 인플레이션이 심해지자, 미국 연준(Fed)이 금리를 0.5%p 인상 ✅ 자이언트스텝 (Giant Step)의미: 한 번에 0.75%p(75bp) 금리를 올리는 것예시:→ 물가 상승이 심각해지자, 연준이 자이언트스텝을 단행 ✅ 하이퍼스텝 (Hyper Step)의미: 한 번에 1.0%p(100bp) 이상 금리를 올리는 것예시:→ 초고속 금리 인상! 역사적으로 드물지만, 극심한 인플레이션 시 발생 가능

레버리징 과 디레버리징

✅ 1. 레버리징 (Leveraging)의미: 적은 자기자본(돈)으로 빚(대출)을 활용해 더 큰 수익을 내는 전략예시:→ 내가 1억 원이 있는데, 은행에서 4억 원을 대출받아 5억 원짜리 건물을 산다면 레버리징 효과를 활용한 것→ 주식 투자에서 **신용거래(빚투)**나 **파생상품(선물·옵션 거래)**도 레버리징의 예✅ 2. 디레버리징 (Deleveraging)의미: 빚을 줄여 금융 리스크를 낮추는 과정예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위험이 커지자, 대출을 줄이고 빚을 갚는다면 디레버리징 중→ 경제위기 때 기업들이 부채를 줄이면서 투자를 축소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