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클다운 (Trickle-down) 이란?
📌 정의:
"트리클다운(trickle-down)"은 경제학에서 "낙수 효과(落水效果)" 라고도 하며, 부유층이 부를 축적하면 그 혜택이 서서히 중산층과 저소득층으로 확산되어 전체 경제가 성장한다는 이론입니다.
📌 주요 개념
1️⃣ 부유층 감세 및 투자 활성화
- 정부가 부유층과 기업의 세금을 감면하면 기업의 투자, 고용 창출, 임금 상승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2️⃣ 부의 확산 효과
- 기업들이 더 많은 돈을 벌면, 자연스럽게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임금이 증가하여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
3️⃣ 경제 성장 촉진
- 상위층이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이 성장이 결국 사회 전체에 혜택을 준다는 논리
📌 예시
✅ 레이건 정부의 경제 정책 (1980년대)
- 미국 레이건 대통령은 "부유층과 기업의 세금을 감면하면, 그 돈이 투자와 소비로 이어져 경제 성장과 고용 증가를 이끌 것" 이라고 주장
- 이를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 라고도 부름
✅ 기업 세금 감면 정책
- 정부가 기업의 세금을 줄이면 기업들은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직원들의 급여를 올리거나 더 많은 사람을 고용할 가능성이 있음
✅ 대기업 성장 → 중소기업 및 개인 혜택
- 대기업이 번성하면 협력업체나 소상공인에게도 기회가 돌아간다는 논리
📌 비판 (한계점)
부의 집중 심화
- 감세 혜택이 부유층에게만 집중되고, 실제로 중산층과 저소득층으로 충분히 흘러가지 않는 경우가 많음
경제적 불평등 확대
- 현실에서는 부유층이 세금 감면으로 얻은 이익을 투자가 아닌 저축이나 해외 자산으로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 기대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음
낙수 효과가 검증되지 않음
- 많은 경제학자들은 "트리클다운 이론이 실질적인 경제 성장과 분배 개선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비판
📌 결론
🔹 트리클다운 효과는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많음
🔹 부유층이 부를 축적해도 저소득층까지 혜택이 제대로 확산되지 않을 수 있음
🔹 따라서 경제 정책은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며, 복지 및 중산층 지원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함
#경제상식, #경제용어, #트리클다운, #낙수효과, #상식
'기초 금융•투자공부 > 경제금융투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상식:GDP 이것만은 외우자 (2) | 2025.03.24 |
---|---|
경제상식:M&A를 성공으로 이끄는 3가지 기준 (11) | 2025.03.20 |
경제상식:투자는 예측이 아니라 대응이다. (0) | 2025.03.17 |
적정부채비율 (4) | 2025.03.17 |
스노볼효과(Snowball Effect)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