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금융•투자공부/주식기초공부

주식기초: 자본잠식

OB아저씨 2025. 3. 20. 18:15

 

자본잠식은 기업의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어 누적된 결손금이 기존의 잉여금을 초과하고, 납입자본금까지 상쇄하기 시작한 상황을 말합니다.

자본잠식의 유형

  1. 부분잠식: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의 일부가 잠식된 상태.
  2. 완전자본잠식: 잉여금은 물론 납입자본금마저 모두 잠식되어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상태.

자본잠식의 영향

  • 자본금의 50% 이상이 잠식된 기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2년 연속 지속될 경우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 자본금이 전액 잠식된 기업은 즉시 상장폐지 대상이 됩니다.

자본잠식의 해석

자본잠식 기업을 모두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습니다. 일부 기업은 현재 적자 상태이지만 미래에 큰 이익이 예상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수년간 적자가 지속되고 미래 전망이 불투명한 경우, 해당 기업은 부실기업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본잠식 해소 방법

  1. 무상감자: 자본금을 줄여 누적 손실과 상계하는 방법.
  2. 자산 재평가: 보유 부동산을 재평가하여 평가차액으로 누적 손실을 상계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들은 재무제표의 외형만 개선할 뿐, 실질적인 기업 가치 향상을 위해서는 이익 창출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