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금융•투자공부/회계기초공부

회계기초:연결재무제표 vs 별도재무제표 – 무엇이 다를까?

OB아저씨 2025. 3. 18. 14:24

 

주식을 하다 보면 연결재무제표별도재무제표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기업의 실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 둘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 연결재무제표란?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

  • "그룹 전체를 하나로 묶어 본 재무제표"
  • 모회사와 자회사(50% 이상 지분 보유)를 포함한 전체 그룹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나타냄.
  • 자회사 실적까지 포함되므로 기업의 ‘진짜’ 규모와 성과를 파악할 수 있음.

예시
삼성전자가 삼성디스플레이(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다면,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과 이익도 포함됨.

📌 투자할 때 연결재무제표를 봐야 하는 이유?

  • 그룹 전체의 수익성과 재무 건전성을 정확히 평가 가능
  • 자회사의 실적이 중요한 기업(지주회사, 대기업)은 연결 기준으로 보는 것이 필수

🔎 별도재무제표란? (Separate Financial Statement)

  • "모회사(개별 법인)만 따로 본 재무제표"
  • 자회사의 실적을 포함하지 않고, 모회사 자체의 매출과 이익만 반영됨.
  • 배당금이나 지분법 이익 등만 포함되므로, 실제 사업의 실적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예시
삼성전자의 별도재무제표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실적이 직접 포함되지 않으며, 배당금 등 일부 수익만 반영됨.

📌 별도재무제표가 중요한 경우?

  • 모회사 단독의 현금흐름과 재무 상태를 파악할 때
  • 배당 정책이나 재무 안정성을 분석할 때

📌 결론: 투자할 때 어떤 걸 봐야 할까?

기업의 전체적인 실적과 재무 상태를 보려면 → "연결재무제표"를 확인!
모회사 자체의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을 보려면 → "별도재무제표"를 확인!

💡 대부분의 경우 연결재무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정확한 투자 판단을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