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금융•투자공부/경제금융투자 상식

경제금융투자상식: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나요?

OB아저씨 2025. 3. 25. 00:50

금리란 무엇인가 : 금리는 돈의 가치 입니다. 즉, 금리가 올라간다는것은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겁니다.

금리 = 돈의 가치

물가 = 물건의 가치

 

금리와 물가는 반비례 합니다.

금리 = 돈의 가이 <--------> 물가 = 물건의 가치

여기서 물가는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는 물건 말고도 부동산, 주식, 그밖의 내구재를 모두 포함.

 

왜 금리가 상승하면 물건의 가치가 떨어질까?

1. 물건과 돈의 가치가 반비례 하기 때문.

2.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곧 저축금리도 오른다는 의미이기 때문(즉, 굳이 주식투자를 할 필요가 없어짐)

3. 대출금리도 올라감. 즉, 부동산 도 수요가 부족해지고, 부동산 가치가 떨어짐. 주식도 마찬가지.

 

금리의 종류

기준금리 :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

시장금리 : 기준금리를 기초로 시장이 반영한 금리

예) 한 가게에서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기준금리+a 를 적용해 시장금리가 결정되는 것임.

 

여기서 잠깐.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경제정책(경기부양책)

재정정책 : 조세정책(세금을 어떻게 걷을 것인가), 재정지출정책(거둔 세금을 어디에 쓸 것인가)

통화정책 : 기준금리와 양적완화(돈을 시중에 푸는 것), 지급준비율 조정(예:100만원 저축이 들어오면 그 중 60만원 이상은 빌려주지마/뱅크런 방지/은행의 입장에서는 지급준비율을 낮추면, 더 많은 돈을 빌려줄 수 있어서 시중에 돈 푸는 효과발생)

 

기준금리정책

금리인하 : 기업의 적극적 투자 유도(부동산, 주식에도 투자)

투자가 늘면 고용도 증가(예: 공장설비를 늘리면 가동할 사람 필요)

고용이 늘면 소득도 증가,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도 증가

 

기준금리는 누가 결정하고 어떻게 결정되나?

연방준비제도(연준) : Federal Reserve System 의 준말 Fed 라고 함. 다른말로 연방준비시스템 이라고 함.

연방준비제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조직중 하나인 연방공재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격임.

 

연방준비제도가 하는 일: 통화정책(기준금리의 인상, 인하,동결을 결정)

의장: 제롬 파월(세계 경제 대통령)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근거: 물가상승률, 경제성장율(+ 실업율)

물가 안정 = 적정물가 유지

한국의 적정 물가상승률 : 2% 정도

 

적정경제성장율 : 특별한 적정수준은 없지만, 보통 3%를 넘으면 기준금리 인상여지 있고, 2%를 밑돌면 기준금리 인하함.

 

발췌: 경제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특강(김광석 저)